목차
- 서론
- 폐구균 감염이란?
- 폐구균의 위험성
- 폐구균 감염 증상
- 기존의 폐구균 백신 종류와 차이점
- 13가 백신
- 15가 백신
- 20가 백신의 특징과 효과
- 폐구균 20가 백신 도입 배경
- 폐구균 20가 백신의 접종 대상
- 영유아 접종
- 성인 및 고령자 접종
- 폐구균 백신의 교차 접종 가능 여부
- 기존 백신 접종자도 20가 백신 추가 접종이 필요할까?
- 결론
- 자주 묻는 질문 (FAQs)
1. 서론
2025년에 폐구균 20가 백신이 국내에 새롭게 도입될 예정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폐구균 13가 백신과 15가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영유아 및 고령자에게 필수 예방접종으로 권장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새롭게 도입될 폐구균 20가 백신은 기존 백신보다 더 넓은 범위의 균주를 예방할 수 있어 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폐구균은 폐렴, 중이염, 뇌수막염 등 심각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특히 영유아와 노약자는 반드시 예방접종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폐구균 감염의 위험성과 20가 백신의 특징 및 접종 계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폐구균 감염이란?
폐구균의 위험성
폐구균(스트렙토코쿠스 폐렴)은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며 다음과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폐렴
- 중이염
- 부비동염
- 패혈증
- 뇌수막염
특히 영유아와 고령자, 면역력이 약한 환자들은 폐구균 감염에 취약하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접종이 매우 중요합니다.
폐구균 감염 증상
폐구균 감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열
- 기침
- 호흡 곤란
- 두통
- 귀의 통증 (중이염)
- 의식 저하 (뇌수막염)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3. 기존의 폐구균 백신 종류와 차이점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 중인 폐구균 백신은 13가 백신과 15가 백신입니다.
13가 백신 (프리베나13)
- 화이자(Pfizer)에서 개발
- 13가지 폐구균 혈청형에 대한 면역 제공
- 영유아 및 성인에서 사용 가능
15가 백신 (브이액스프리)
- MSD(Merck)에서 개발
- 15가지 폐구균 혈청형에 대한 면역 제공
- 추가된 혈청형으로 더 넓은 범위의 폐구균 예방 가능
20가 백신의 특징과 효과
폐구균 20가 백신은 기존 13가 및 15가 백신보다 더 넓은 범위의 폐구균 균주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화이자에서 개발
- 20가지 폐구균 혈청형에 대한 면역 제공
- 기존 백신보다 예방 범위가 넓어 감염 위험 감소 기대
특히, 20가 백신은 고위험군 및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4. 폐구균 20가 백신 도입 배경
미국에서는 이미 폐구균 20가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2025년부터 50세 이상 성인에게도 접종이 권장될 예정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미국의 접종 지침을 따를 가능성이 높아, 2025년부터 50세 이상 성인과 영유아를 대상으로 폐구균 20가 백신 접종이 권장될 것으로 보입니다.
5. 폐구균 20가 백신의 접종 대상
영유아 접종
- 생후 2개월, 4개월, 6개월, 12~15개월에 총 4회 접종
- 기존 13가 또는 15가 백신을 맞은 경우에도 추가 접종 가능
성인 및 고령자 접종
- 50세 이상 성인에게 권장
- 기존에 폐구균 백신을 접종한 경우에도 추가 접종 가능
6. 폐구균 백신의 교차 접종 가능 여부
13가, 15가, 20가 백신은 교차 접종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가능하면 동일 회사의 백신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면역 반응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13가 백신과 20가 백신은 모두 화이자에서 개발했기 때문에 교차 접종 시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15가 백신은 MSD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교차 접종 시 효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7. 기존 백신 접종자도 20가 백신 추가 접종이 필요할까?
기존에 13가 또는 15가 백신을 접종한 경우에도 20가 백신의 추가 접종이 권장됩니다.
- 기존 백신으로는 예방하지 못했던 추가 혈청형에 대한 면역을 제공
- 기존 백신 접종 후 5년이 지난 경우 추가 접종 권장
8. 결론
폐구균 감염은 영유아와 고령자에게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 접종은 필수입니다.
폐구균 20가 백신은 기존 백신보다 더 넓은 범위의 균주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백신을 맞은 경우라도 추가 접종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2025년부터 국내 도입이 예상되는 만큼, 미리 준비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접종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9. 자주 묻는 질문 (FAQs)
Q1. 기존에 13가 백신을 맞았는데 20가 백신을 추가로 맞아야 하나요?
➡️ 네, 20가 백신은 더 넓은 균주를 예방하므로 추가 접종이 권장됩니다.
Q2. 15가 백신을 맞았는데 20가 백신을 추가로 맞아야 하나요?
➡️ 네, 추가 접종이 가능합니다.
Q3. 폐구균 20가 백신의 접종 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 도입 이후 구체적인 비용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Q4. 성인도 필수 접종 대상인가요?
➡️ 50세 이상 성인은 필수 접종 대상입니다.
Q5. 폐구균 감염이 심각한가요?
➡️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예방접종이 중요합니다.
'육아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의 창의력을 키우는 부모의 대화법 (2) | 2025.03.19 |
---|---|
아들 키우는 일이 너무 힘들어요(아들 육아법) (1) | 2025.03.17 |
잘못된 아기 마사지, 탈구가 될 수도 있다? (0) | 2025.03.12 |
분리수면,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 (0) | 2025.03.11 |
우유병, 젖병 소독이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 (0) | 2025.03.08 |